* 영양이 듬뿍섞인 흙모판을 만들고, 신중하게 선별(*選別)된 씨를 뿌려 묘목을 길러낸 후, 영양흙이 담긴
조그마한 상자 혹은 작은화분, 또는 재생비닐(*썩는)봉지에 묘목을 옮겨 일정기간 경과후 최종경작지에 심어
지는 과정에서부터, 자그마하고 가초롬하고 아름답고 향기 그윽한 하얀커피꽃을 피워 바람과 곤충에 의해
수정된 뒤 짙은녹색의 열매를 맺고 색(*色)을 바꾸어 붉은 체리(*Cherry) 가 되는 과정까지를 주욱 간단한
설명과 사진으로 보여 드렸습니다.
 
  * 위 그림은 그러한 全 과정을 하나에 담은 <커피꽃에서 체리열매에 이르기까지의 여무는 단계, 커피의
일생도(*一生圖)?> 과 <커피열매 분해도(*分解圖)> 입니다. (*귀한 사진입니다.^"'^)3
 


Posted by sjc20000
,


   * 꼬빤 루이나(*Copan Ruinas) !
     <온두라스 이야기-18 : Copan Ruinas> 1편에서 잠시 언질이 되었지만,
      ; " ~Its name is an apparent reference to the fact that it was situated at the far southern and eastern end
of Maya territory."   (~ "마야영토<*문화권>의 최남동권 끝" 으로 이야기 되는 걸 보면, Mexico/Yucatan 의
Maya - Belice - Guatemala - Copan Ruinas/Honduras 까지 확대 되었다는 게 정설(*正設)일 듯합니다.
 
     <온두라스人>의 인종(*Etnia)단일種族인 아닌 대략 7~8種族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쪽 <Copan
Ruinas> 쪽이 특이하게도 <Santa Rosa de Copan>, <Ocotepeque>, <Lempira>, <La Paz>, <Intibuca> 지역
(*남서부 대륙지대) 에서 대부분 찾아볼 수 있는 "토종 원주민(*Pueblo de Origen Maya)" - 렌까스(*Lencas)
族이 아닌 "쵸르티스(*Chortis)" 族 :  멕시코/유카탄 반도 - 치아빠(*Chiapas) - Belice - Guatemala 로 연결
찾아볼 수 있는 인종이라 하네요.
(*온두라스 원주민들의 구성에 대한 이야기는 다음으로 미루도록 하겠습니다.)


  * <Copan> 들어가는 입구 - "입장권?" 내는 출입구에 이 놈들(*구아까마야: Guacamaya - 여기서는
<La Guara Roja> 이 마구 떠들며 <방문 환영?의 노래>를 부르고 있는 모습을 볼수 있습니다.



   * 위 사진의 <복원도(*復原圖)> 입니다.



* <꼬빤>사진 몇장 더 올립니다.



Posted by sjc20000
,



   * 마르깔라(Marcala) 도심공원 입니다.
 
      여기서 잠시 이야기 드리는게 좋겠네요.
   * 온두라스(*Honduras)의 도심구조는 거의 전부 <도심공원(*Parque Central)> 을 중심으로 두고, 관공서
(*시청-Municipalidad), 경찰서, 전화국(*Hondutel), 전기공사(*ENEE), 공익청(*MP : Ministerio Publico) 등이
모여 있으며, 당연히 그 주위로 상가나 시장도 형성되고, 따라서 인구도 밀접되어 있습니다.
 
   * 온두라스(*Honduras)의 행정구역은 <*Pais: 국가> - <*Departamento: 주(*州) / 한국의 도(*道)정도> -
<*Municipio: 시(*市), 군(*郡)> - <*Pueblo: 동(*洞), 읍(*邑) > - <*Colonia: 구(*區), 단지(*團地)> - <*Casa: 집
(*番地)> 의 구조와 형태를 이루고 있습니다.
 
   * 온두라스(*Honduras) 의 주(*州) 는 총 18개주가 있는데 주(州)마다 대표시(*代表市 - Cabecera)가 있습
니다. ;  ABC 순으로 보면(*괄호안은 Cabecera/대표市 입니다.)
     -.   Atlantida(*La Ceiba)
     -.   Choluteca(*Choluteca)
     -.   Colon(*Trujillo) :  <온두라스 견문록 - 대서양편>에서 이야기 되었습니다.
     -.   Comayagua(*Comayagua) : *Siguatepeque - Potrerillo - 커피농장 <Villa Arco Iris>
     -.   Copan(*Santa Rosa de Copan) :  <온두라스 이야기-18: 꼬빤>  에서 잠시 이야기 되었습니다.
     -.   Cortes(*San Pedro Sula)
     -.   El Paraiso(*Yuscaran)
     -.   Francisco Morazan(*Tegucigalpa D.C.)
     -.   Gracias a Dios(*Puerto Lempira)
     -.   Intibuca(*La Esperanza)
     -.   Islas de la Bahia(*Roatan) :  <온두라스 견문록 - 대서양편>
     -.   La Paz(*La Paz) : *Marcala 가 여기 속합니다.
     -.   Lempira(*Gracias)
     -.   Ocotepeque(*Ocotepeque)
     -.   Olancho(*Juticalpa)
     -.   Santa Barbara(*Santa Barbara) :  <꼬빤>과 <라고데 여호아 호수> 에서 나왔습니다.
     -.   Valle(*Nacaome) :  <온두라스 견문록-태평양편>에서 지나왔습니다.
     -.   Yoro(*Yoro)
          이상 총 18개주(*州) 입니다이젠 <티스토리 가족>님도 <온두라스(*Honduras)> 에 대해 많이, 그리고
여러 곳을 아시게 된 셈이네요. (^"'^)3. 나중에 다른 지역도 다룰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Posted by sjc20000
,


  * 꼬빤 루이나(*Copan Ruinas) !
  * 1980년 UNESCO 세계유산(*UNESCO World Heritage Site)으로 지정 되었습니다. !
 
     일반적으로 <산따로사데 꼬빤(*Santa Rosa de Copan)>과 동일한 것으로 혼돈이 많습니다만, 둘다 <꼬빤
(*Cpoan)>道 에 속하는 <Copan Ruinas> 市(*지도 좌측) 와 <Santa Rosa de Copan> 市(*수도-지도 우측)로
별개입니다.  
커피농장(*Villa Arco Iris - JinZBurgo) 에서 가려면, 쭉 바로 가는 도로는 없고, 일단 SPS - San Pedro Sula
까지 갔다가 다시 들어가는 코스를 택하거나, 일전 호수(*湖水 - Lago de Yojoa) 이야기를 할때, 호수를 끼고,
왼쪽도로를 타고 (*오른쪽 도로를 타면 SPS 에 도착 됩니다.)  '산타바르바라(*Santa Barbara)'市를 지나
Trinidad - Quimistan 쪽으로 빠져 달려가는 길이 있습니다. 
( 농장에서는 SPS 까지 대략 2시간, 다시 꺼꾸로 방향 바꾸어 꼬불 꼬불 Copan 까지 들어가려면 3시간,
넉넉잡고, 조심스럽게 운전하면 한 5시간 반거리 즈음 되겠네요.)
권하는 도로는 "안전제일.!" ... 번거롭더라도 SPS 까지 갔다가 다시 거꾸로 타고 들어가는 길이 좋습니다.
(*Santa Barbara 도로도 좋긴한데, 조금 외집니다.). 
  * 거의 과테말라 국경과 붙었습니다.
 
   * 방문사진은 다시 한번 더 올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지도사진이 길어 잡아당겨 본문삽입 시켰더니 글씨가 뚜렷하게 잘 보이지 않습니다.
      별도로 지도 보시려면, 지도사진 위로 클릭하시어 따로 화면 불러내어 보시면 되겠습니다.
 
+   +   +   + 

The Pre-Columbian city today known as Copán is a locale in western Honduras, in the Copán
Department, near to the Guatemalan border. It is the site of a major Maya kingdom of the Classic era
(5th through 9th Centuries).

The kingdom, anciently named Xukpi (Corner-Bundle), flourished from the 5th century AD to the early 9th
century, with antecedents going back to at least the 2nd century AD. Its name is an apparent reference to
the fact that it was situated at the far southern and eastern end of Maya territory.  The nearby modern
village of Copán Ruinas itself may have anciently been known as Oxwitik.

Posted by sjc20000
,


   * <온두라스 이야기: 일반견문록-4> 와 <草堂이야기-6>에서 잠시 언급된 온두라스 커피 제일産地 - " 마르
깔라(*Marcala)> 입니다.  La Paz 道 - La Marcala 市 로 구획 됩니다.
 
커피농장 <Villa Arco Iris - JinZBurgo> 으로 부터는 에스뻬란사(*Esperanza) 를 경유하는 방법과 수도 -
떼구시갈빠(*Tegucigalpa)쪽으로 내려가면서 오른쪽으로 꺽어 들어가는 2가지 방법이 일반적인데, 두가지
모두 지도에서 보시다시피 (노란색) 굵은도로 타다가, 비포장 산악도로를 타고 꾸불거리며 들어가야 합니다.
그나마 수도쪽 길로 가는게 조금 나은축에 속합니다.  농장에서 넉넉잡고 2시간반 정도 탑니다.
 
+   +   +   + 
 
Being this a region with lenca indigenous background, made the arrival of German immigrants during
this last century an introduction to a very peculiar joining of cultures, which put together with the amazing
agro-ecological qualities of the region resulted in particular characteristics and the immeasurable quality
of our coffee, known to be one of the best in Honduras. According to historical documents which belong
to German historian, Herman Bauch, coffee crops in Marcala started in 1866.

There are several versions of how coffee growing came to this region; however, studies show that it
started during the Liberal Reform (1876-1880). It was in this time that the promotion and development of
coffee crops was in its height.

Even though there are some formal registries of coffee producing farms from 1937-1938, its
modernization and intensification is not done until early 70's which coincides with the arrival of German
families to Marcala and its surroundings, thus impelling the grain's industrialization. 
 
   위 원문에서 보시다시피 <Marcala>의 Coffee 역사는 깊은편이며, 일찍부터 독일 이민자의 농경교육 영향
아래 있었던 까닭에 온두라스의 다른 커피재배 지역에 비해 <質>과 <(*생산지) 이름>면에서 일찌기 <커피
세계>에 알려지게 된 셈입니다. 그래서 <온두라스 커피>하면 먼저 <마르깔라 : Marcala>를 떠 올리게
되지요
(( * 니카라구아<Nicaragua> 에도 '셀바 네그라(*Selva Negra)>' 라고 유명한 커피농장이 있는데(*제가 커피
교육과 지렁이 사육 수업을 받은? 곳입니다. 나중에 사진 몇장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그 농장주도 3대째의
독일인이 하고 있습니다. ))
 
   * <마르깔라>의 커피축제 사진과 <마르깔라 커피>사진 몇개 올립니다.
     <마르깔라> 중심가 사진은 다음에 한번 더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Posted by sjc20000
,


   * <깊은생각> - 두번째 휴식처에서 한국 <알타리무우>밭, <수박>밭, <오이>밭, <당근:홍당무>밭, <부추:
정구지>밭, <대파>밭, <레몰라차:비트-빨간무우>밭, <호박>밭을 지나, 여기 온두라스의 主食 <붉은콩(*Frijol)
과 <옥수수(*Maiz)> 밭의 중간 지역에 또 굵은 소나무가 두 기둥으로 뻗쳐 올라가는 곳이 있는데 경치가
훌륭(?)하여 또 하나의 쉼터를 마련 했습니다.
< 좋은생각(*ThinkGOOD)> 이라 이름 지었습니다.
 
+   +   +   +
 
  내가 香氣가 있으면
  굳이 香을 뽐내지 않아도 벌(*蜂)이며 나비(*蝶)가 먼저안다.
  장미(*薔薇)는 장미의 향기가 있고
  백합(*百合)은 백합의 향기가 있다.
  네가 사용하는 향수의 향기를 맡으면 너를 생각하듯이
  나만의 <香氣>를 다듬어야 한다.
  내게 있는 <香氣>를 가꾸고, 다듬고, 고유화시켜
  이젠 풍겨야 할 시기가 되었다.
  그 <香氣>가 <품위(*品位)>이며 <인격(*人格)>이고 <갖추어짐>이다.
  물(*水)에도 '색깔'이 있고, '빛깔'이 있으며
  바람(*風)에도 '뿜어남'이 있다.

Posted by sjc20000
,


   * " 커피는 하루에 어느 정도 마시는게 적당(?)할까? " (3)


   * <카페인(*Caffein)> 화학 성분구성도(?) 입니다. (*요<*尿>와의 상관 결속관계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카페인(*Caffein)> 의 치사량은 대략 10그램(g)인데 커피 100잔 내지 120잔을 일시에 마시는 양입니다.
(*거의 불가능 하지요).  보통 카페인이 체내에 들어가면 1시간내에 약 20%가 분해되고, 3~7시간 경과하면
절반 이상이 요(*尿)산으로 분해됩니다. 마찬가지로 체질에 따라 다르겠지만 빠르면 2시간내에, 늦어도 12시
간안에는 카페인이 반감(*半減)됩니다.
(*나이 드신분, 임산부, 피임약을 복용하는 여성분<*피임약 성분에 카페인 분해를 방해?하는 다른성분과
  충돌?한다고 하는데,..>, 간질환을 앓고계신 분은 카페인 분해속도가 늦어져 반감기가 길어지게 되지요.)
 
   * "과유불급(*過猶不及) " 이라고... 성인의 경우 이상적(?)인 카페인 습취량은 하루 300밀리그램(mg) 정도,
약 3잔정도이니 "삶의 자극제, 기분전환제" 역할로면 "3~4잔 정도"가 좋지 않겠습니까.
    (* 로부스타種이 아라비카種에 비해 카페인 함유량이 높습니다.)
    (* 7부잔 - '계영배'에 대해서는 나중에 한번 정리되도록 하겠습니다.)
Posted by sjc20000
,

 



  * <까따라따데 뿔라빤삭 : Cataratas de Pulhapanzak > 폭포(*瀑布) 입니다.

     <온두라스 이야기-15> 에서 말씀나눈 <호수: Lago de Yojoa> 의 물줄기를 조금 따라 내려가면 바로
43미터(m)의 폭포를 만나실 수가 있습니다. (*삐냐블랑카-Pina Blanca: 흰파인애플 이란 뜻, 근처로 진짜 맛
좋고 단 파인애플 많습니다. 또는 *리오린도-Rio Lindo: 맑은 강 정도?로 해석, 등의 마을?을 거치면서 강줄기
를 형성,SPS 까지 갑니다.)  (*첨부파일(.mpeg) 로 전체적인 폭포의 장관과 경관을 담았습니다.)
 
     <Pulhapanzak> 가시는 길은 위에서 내려가는 길 말고, 경제도시 SPS-San Pedro Sula 에서 수도 Teguci-
galpa 쪽으로 국가간 도로(*Canal Seco) 타고 올라오시면서 오른쪽으로 빠지는 길이 찾기도 쉽고, 도로도
무난한 편입니다. 
 
 
  *아래 사진은 제가 <호수생선과 맥주한잔>을 위해 자주 가는 단골집에서의 <호수경관> 입니다.
   -.  건너편 山 정상에서 '화산연기'가 올라오는 듯 하지 않습니까?
   -.  코코넛 나무 중간즈음(*화면의 중앙)에 저 멀리 'UFO(*비확인 비행물체)' 같지 않습니까?
       (*확대, 필터링하면 가능할 것 같은데.. UFO 연구관님들 조사 좀 해 주십시요.)




Posted by sjc20000
,


  * <온두라스>에서 제일 큰 <산정호수(*山頂湖水) : 라고데 여호아 - Lago de Yojoa : Yojoa Lake>
      입니다. (*커피농장<Villa Arco Iris> 에서 나와 넉넉잡고 50분정도 국제간 도로(*Canal Seco: 지도의 굵은
노란색)를 타고 경제도시 SPS-San Pedro Sula 쪽으로 내려오면서 오른쪽길 타면 도로변으로 바로 보실 수
있습니다.  *첨부파일로 차타고 내려가는 '동영상(.mpeg)' 올려 보았습니다. ^"'^)3



  이 호수도 '화산 용암 활동'에 의해 형성(*Volcanic field with lava-dammed lake) 된 '역원뿔형' 입니다.
   -.  해발  :   700미터(m)
   -.  주위둘레  :  285킬로미터(Km)
   -.  표면적  :  79 평방킬로미터(Km2)
   -.  수심  :  15미터(m)
   온두라스의 식수 - 젖줄기 역할을 하는 중요한 호수인 셈이나, 수질(*水質)에 대해선 정확히게 무얼 의미
하는지는 모르나 <Mesotrophic 類> 라고 하는데..(*아시는 분 있으시면..)
 
   여기서 호수낚시도 하고, 카약(Kayak)도 한다는데, 호수 중앙즈음 가면 바람이 많답니다.
   (*저는 뱃놀이?는 안하고, 풍경있는 최근방의 레스토랑에서 호수생선 구운 것과 시원한 맥주한잔 하러
이따금식 SPS 에 있는 친구들을 부르곤 하지요.)
 
   400여종의 야생조류와 800여종의 수목(樹木)이 있는 국가보호 지역이며, 전하는 이야기는 아직 공식적
으로 발견되지는 않았지만 '꼬빤(*Copan de Ruina)' 의 마야문명 흔적이 이곳에서도 찾아볼 수가 있다고
합니다. (*Copan de Ruina 는 나중에 한번 더 이야기 되도록 하겠습니다.)


Posted by sjc20000
,


  * <온두라스 이야기>에 적으려 하다가, 제 개인 견해와 의견이 많이 반영되어 있어 이 코너에 적습니다.
 
    1..  제가 여기 온두라스 1996년 이후 가장 빈번하고, 다각적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또한 가장 근접하고
          밀접되게 접촉하면서 보고, 듣고, 대화나누고, 그들의 삶과 생활의 현장에 직접 섞이면서까지 터득?한
      <온두라스人> 에 대한 집약적인 단어입니다.
    2..  물론 제가 사람보는 눈도 없고, 사람에 대한 福도 남들보다 적은 듯하고, 심도있는 인간경험도 없지만
          단지, 그 이전 스페인사람, 모로코인, 가봉인, 시에라레온인, 가나인, 기네아인, 그리고 도미니카인,
      멕시코사람, 칠레인, 코스타리카사람, 니카라구와인, 과테말라인등..등 또한 여하한 경로등으로 어쨌던
      접해왔길래 자연스럽게 대조(?)도 되고, 약간은 특유?한 동양인 중에서도 한국인이기 때문에 더 더욱
      그런 시선도 있지는 않겠습니까.
    3..  그냥 진짜 개인적인 의견, 좁은소견, '사람福 지지리도 없는' 조금은 특유한 한국인의 눈에 비친 점으로
          만 참조 바랍니다. 저는 사람을, 인간을, 인종을 판단하고자 함은 절대 아닙니다.
    4..  어쩌면, <온두라스(*Honduras)> 라는 나라의 인원구성이 70~80% 정규교육을 받지못한, 무식(?)하고
          다른 것에 대한 생각이나 관념이 없는 가난한 사람,  2~5% 가량이 전체 유동자본의 80%를 쥐고 흔드
      는 거대자본가, 소위 말하는 부르조아 유산상속자, 지식층,  또 2~5% 가량은 이방인 혹은 외국인, 나머지
      6~10% 는 그 나마 배운, 증가하는 중산층인데, 그 나름의 사회를 이루고, 유유상종을 하거나, 게 중에는
      타국(*근처 나라, 에스빠냐, 미국 등)으로 탈출(?)한 사람들이니, 제가 접촉한 사람들은 거의 80% 내의
      사람이라고 봄이 타당하겠지요.
 
    5..  당연히 그 중에도 유별난(*그렇게 함이 당연함에도 예외적이라 오히려 이상하게 느껴진다는 의미)
          사람도 "희귀? 하지만-" 만날 수는 있습니다. 충실하고, 예의있고, 시간준수 잘 하고, 책임감 있고,
       열정적이고, 충성심있고, 인간적(?)인 사람..도 있습니다.
       (*기회 닿으실때 <온두라스>를 아는 분께 한번 물어보아 주십시요..)
 
단어 1.   Haragan(*게으름뱅이)
단어 2.   Descarado(*후안무치)
단어 3.   Mal Agradecido(*배은망덕)
단어 4.   Desagradecido(*非道德)
단어 5.   Egoista(*이기주의자)
단어 6.   Oportunista(*기회주의자)
단어 7.   Hipocrita(*위선자)
단어 8.   Desvergonzado(*뻔뻔함, 파렴치한 사람)
단어 9.   Metido(*주책바가지, 참견하는 사람)
단어10.  Tematico(*고집쟁이)
 
  * 나는 그들의 눈에 어떻게 비추어지는지를 외국에 거주하시는 분 뿐만 아니라 내국에서도 자주 물어볼 줄
    알아야 겠습니다.  나는 "한국의 얼굴 - 민간 외교관" 입니다.

Posted by sjc20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