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큰생각: ThinkBIG> -  첫번째 휴식처에서 83계단을 타고 올라가면 바로 나옵니다.
      가파른 83계단, 흙으로 다져만든 계단을 올라왔기 때문에 또 한번의 '숨고르기'(?)가 필요하리라 생각
되어 '단풍나무' 옆으로 하여 그늘지게 만들어 놓았습니다. 바람도 계단아래로,위로 들숨 날숨하여 조금은
시원한 장소 입니다. <깊은생각(*ThinkDEEP)> 이라 이름 지었습니다.
 
   * <깊은생각HOW TO BECOME A GREAT BOSS >
 
   -.   칼자루를 쥐었다고 베는 것이 능사는 아니다.
   -.   때로는 유연하게...
   -.   모든이의 말에 귀를 기울여라.(*귀를 기울일줄 알아라)
   -.   경비견을 곁에두고 당신이 짖지말라.
        (*'무엇'을 '왜'하는지에 관하여 필요한 만큼 깊은대화를 나누어라. 
            하지만 업무수행은 그들이 직접하도록 배려하라. )
   -.   기대한 것이 아니라 조사한 것을 얻어라.
   -.   정보원보다는 정보의 질(*質).
   -.   명사수는 허리춤에서 총을 발사하지 않는다.
   -.   독수리는 쥐를잡기 위해 쥐구멍으로 들어가지 않는다.
   -.   위대한 BOSS가 위대한 BOSS를 낳는다.
   -.   같이 갈수없으면 포기하라.
Posted by sjc20000
,


나 의
모 든 것 을  
모 아 서   던 지 면
저 리 도
푸 른 비 상 을   할 까 ?
 
저 리 도
맑 은 비 상 을  할 까 ?         * 한광섭 <물수제비> 중에서
Posted by sjc20000
,


京 師 得 家 書  (경사득가서: 집에서 온 편지)
 
         江 水 一 千 里  (강수일천리: 일천리 흐르는 강물)
      
         家 書 十 五 行  (가서십오행: 받은편지 열 다섯줄)
 
         行 行 無 別 語  (행행무별어: 별다른 말은 없고)
 
         只 道 早 還 鄕  (지도조환향: 일찍 돌아오라 당부뿐이네)
 
                                                --- 中國 明代 <袁凱(원개)> ---
+   +   +   +
 
   * 농장 <옥수수밭>으로 올라가는, 우측 경계로의 첫번째 휴식처 입니다.
      <큰 생각: ThinkBIG>이라 지었습니다.  어쨌던 많은 것을 겪고, 견디어 나가려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조금 더 정성드려 꾸미고, 잔디며, 꽃들도 심어야 합니다...)
Posted by sjc20000
,

* 逐鹿者不見山
    ( 촉록자불견산 :  사슴을 쫓는사람은 산을 보지 못하고..)  : 

    <礎石의 열린마음> 에 대한 附加 입니다.
Posted by sjc20000
,


虎  視  牛  步 
      (호시우보 :  호랑이의 눈처럼 예리하되 소의 걸음처럼 신중함을 함께 갖추라)
     
  *  함께 해쳐나가는 지혜로운 때 되었으면 합니다.
      (*연필데생입니다)
Posted by sjc20000
,


*副題 : 칼가는 사람(刀人 = 道人)
 '인내(*忍耐)의 도(*道).!
 ; '칼가는 사람'은 일반인보다 최소한 몇배갑절의 인내(*忍耐)가 필요하다.
다 갈기도 전에 풀(*雜草)를 벨수도 없을 뿐더러, 그렇게 하다간 두어 발폼짝 움직이는 동안 오른손이나
왼손 할 것없이 손바닥이나 손가락에 물집이 생기고 터지는 것은 각오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어설프게 갈았다가는 무우는 커녕 바나나도 못자를 것이기 때문이다.
   다 갈고난 칼이 보도(*寶刀)가 될것이니, 보검(*寶劍)이 될것인지는 장담 못한다. 다 갈고 그것을 사용할
때까지는 모른다.  다만 군말않고 성심(*誠心)을 다하고, 성신(*誠信)을 기울여 갈고 닦고, 寶刀면 보도,
寶劍이면 보검을 위해 부지런히 그러나 조심스럽게 숯돌에 정성드려 문지러면 된다.
   다시 말하건데, 그 과정 - '칼가는 과정'은 하나의 도(*道), 즉 '인내(*忍耐)의 道'가 틀림없이 되어야 한다.
'칼가는 작업'은 '忍耐의 道' 이다.!   (*8aug06)
Posted by sjc20000
,